Last updated 8 months ago
소재 분석에서의 분석 리포트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성한 하나의 분석 페이지를 의미합니다.
한 명이 만든 분석 리포트는 에디터 권한이라면 누구나 조회/수정할 수 있으나, 선택한 광고에 설정된 레이블의 종류만 수정이 가능합니다.
분석 리포트는 크게 4개 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요약 탭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재 관련 인사이트를 도출할 때 필요한 고효율/저효율 소재, 급상승/급하락 소재, 영향이 큰 소재 등을 선별해 표시합니다.
요약 탭에 표시하는 소재들이 순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계산 방식을 통해 소재를 선별하고 사용자에게 추천합니다.
또한 Xpert 내 피벗 테이블 기능을 통해 자유롭게 원하는 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아주 상세한 소재 분석이 아니라, 기본적인 분석을 통한 대략적인 흐름과 단순 분석을 확인하기에 용이합니다.
일별/주별 성과를 활용해서 대략적인 소재를 추린 후, 공유용으로 깔끔하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은 엑셀과 스프레드시트 등 정량 데이터를 취급해 유의미한 마케팅을 수행하는 퍼포먼스 마케터에게 가장 익숙한 화면입니다.
엑셀이나 스프레드시트에서 보기 어려웠던 소재(이미지, 영상)와 성과를 한 번에 볼 수 있습니다.
정렬과 필터 기능을 통해 KPI 기준 정렬, 원하는 소재만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 소재명을 클릭해 개별 소재에 대한 더욱 자세한 데이터 확인도 가능합니다.
또한, 소재를 구성하는 광고 별 성과나 특정 광고의 일자별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있는 레이블들이 어떤 성과를 냈는지 궁금할 때 소재 구성 요소로 피벗테이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최대 5개의 지표를 기준으로 레이블에 대한 피봇을 만들어, 가장 유의미한 소재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해보세요.
기본 필터 뿐 아니라 스캐터 차트의 소재 코호트 필터로도 데이터를 걸러서 보실 수 있습니다.
필터를 이용해서 고효율군, 저효율군 등으로 보다 자세히 보고싶은 영역을 선별한 뒤, 레이블 피벗 탭을 이용해보세요.
어떤 레이블들이 많이 있었는지, 레이블 별로 우수한 성과는 어땠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트리맵 차트를 이용해 각 레이블이 볼륨지표에 어느 정도의 성과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