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묻는 질문

🔎 빠른 검색을 원하실 경우, 하단 네비게이터 및 우상단 Search 기능을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ㅇㅇ

사용자 권한

Q : 조직 내 관리자는 한 명만 등록이 가능한가요?

A : 아닙니다. 다수의 사용자가 관리자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워크스페이스마다 마스터 권한 설정이 필요하며, '마스터'는 관리자가 아닌 유저 레벨의 사용자만 등록 가능함에 따라 조직 내 유저 레벨의 사용자는 최소 한 명이 필요합니다.


워크스페이스

Q : 워크스페이스 생성은 몇 개까지 가능한가요?

A : 현재로서는 제한이 없으나, 추후 유료 금액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습니다.

Q : 워크스페이스 생성 시 기재하는 플랫폼 URL(웹) 등록이 되지 않습니다.

A : 반드시 운영 중이신 사이트 URL을 기재하지 않으셔도 되며, 임의의 URL을 기재해 주셔도 됩니다.


자산 관리

Q : 앱스플라이어 재수집이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 앱스플라이어의 경우 앱스플라이어 측에서 제공하는 Call Limit(일별 API 수집 횟수)이 매우 적은 횟수로 제공됩니다.

이에 따라 새벽에 진행되는 정기 수집의 안정성을 위해 직접 재수집을 제한하고 있어, 재수집이 필요하신 경우 Xpert 온보딩 매니저에게 문의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데이터센터 - 공통(내보내기)

Q : 수기로 업로드한 데이터 추출 시 날짜 필터가 걸리지 않습니다.

A : 현재 수동으로 업로드된 데이터는 내보내기 기간에 대한 날짜 필터링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데이터 업로드 시트의 경우 Xpert에서 자체 설정된 데이터 날짜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전체 기간이 포함되는 것으로, 추후 데이터 업로드 시 날짜 컬럼을 지정할 수 있도록 기능 개발 중에 있습니다. 업데이트 이후 수동 업로드 데이터도 내보내기 기간 필터링이 가능할 예정입니다.


데이터센터 - 1단계(매체/트래커 선택)

Q : 매체/트래커를 선택했는데 다음으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A : 각 리포트별 구분이 필요함에 따라, 리포트 이름 을 기재해야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Q : 추가된 자산 확인은 가능하나 선택이 불가하여 2단계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

A : 좌측 상단 리포트 이름 아래의 설정 기간 내 수집된 데이터가 없을 경우, 해당 자산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자산 테이블 내 저장 기간 을 참고하시어, 데이터가 수집된 기간으로 변경하시면 2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Q : 데이터 업로드를 통해 업로드한 스프레드시트는 새로고침 시 해당 내역이 반영되나요?

A : 스프레드시트 내 데이터는 데이터 업로드 관리 페이지 내 새로고침을 통해 최신화가 가능합니다.


데이터센터 - 2단계(데이터 전처리)

Q : 구글 비용과 엑스(구 트위터)의 비용 및 매출이 대시보드와 100만배 차이가 납니다.

A : 상기 매체들의 경우 글로벌 매체임에 따라, 매체 측에서 달러에 대한 소수점 대응을 위해 100만을 곱한 데이터로 AP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Xpert는 등록해 주신 자산의 데이터를 최대한 원본 그대로 제공해 드리는 것이 원칙이며, 이에 비용 또는 매출 금액의 경우도 매체 측에서 제공하는 원본 형태 그대로를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매체에 대해서는 데이터센터에서 값 바꾸기 - 계산값 변경하기 기능을 통해 100만을 나누어주시기를 권장드립니다.

Q : 내보내기를 진행하니 동일한 일자, 광고 정보들이 중복되어 나옵니다.

A : Xpert는 각 자산별로 제공하는 다양한 컬럼들을 하나의 테이블로 수집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경우 자주 사용하시는 날짜/캠페인/그룹 이외에도 컬럼 추가/숨기기 버튼을 눌러보시면 수많은 광고 정보들(디바이스나 네트워크 타입 등)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때 Xpert에서 수집한 구글 테이블은 수많은 광고 정보들을 기준으로 행이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날짜/캠페인/그룹만 선택하셨을지라도 해당 테이블에는 숨겨져있는 다른 광고 정보들로 모두 행이 나누어진 상태입니다.

Xpert는 매체 및 트래커에서 제공하는 원본 데이터를 그대로 보여드리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이를 원하는 기준에 따라 집약된 형태로 보시기 위해서는 피벗 기능을 사용해주셔야 합니다.

Q : 피벗 테이블 생성 혹은 데이터 통합을 진행한 이후 원본 테이블에서 새로운 작업을 진행할 경우, 해당 내역이 자동으로 최신화되나요?

A : 원본 데이터 파일에서 작업을 수행해 데이터가 변경되어도, 이전에 만든 피벗 테이블과 통합된 데이터 파일에는 새 작업 내역이 자동으로 반영되지 않습니다.

각각 아래와 같이 추가 작업을 수행해야만 원본 테이블의 수정된 내역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피벗 테이블 최신화]

  • 피벗 테이블 탭에서 원본 교체를 통해 원본 테이블의 추가 작업 내역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 다만, 원본 테이블을 수정함으로써 기존의 피벗 테이블과 컬럼에 차이가 발생한 경우, 원본 교체가 불가하므로 새로 피벗 테이블을 생성해야 합니다.

[통합 데이터 테이블 최신화]

  • 통합된 데이터 테이블을 최신화하려면, 해당 테이블의 통합을 해제한 후 원본 테이블에서 통합 절차를 새롭게 거쳐야 합니다.

Q : 네이버SA 평균 노출 순위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나요?

A : 네이버SA API에서는 sum_of_ad_rank 라는 컬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값은 노출된 모든 순위의 합계로, 노출 1건당 노출된 순위의 총합계입니다.

  • 예를 들어, 노출이 3건이었는데 노출 순위가 각각 1, 2, 3 이라면 sum_of_ad_rank 는 6이 되게 됩니다.

따라서, 평균 노출 순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sum_of_ad_rank의 합을 모든 노출의 합으로 나누어주면 평균 노출 순위가 나오게 됩니다.

  • 예를 들어, 위 사례의 평균 노출 순위는 6 나누기 3으로 2가 됩니다.

즉, sum(sum_of_ad_rank) / sum(impression) 수식으로 평균 노출 순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센터 - 3단계(데이터 매핑)

Q : 데이터를 매핑했는데, 화면상 보이는 데이터 중 추가된 컬럼의 셀이 공란으로 확인됩니다.

A : 광고 데이터에 붙는 순서에 따라 매핑 결과값이 달라지게 됩니다.

1) 인덱스 2) 트래커 순으로 데이터를 매핑하는 경우와 1) 트래커 2) 인덱스 순으로 데이터를 매핑하는 경우의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매핑의 KEY가 되는 기준 컬럼이 어디에 먼저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확인 후 순서 설정을 권장드립니다.


데이터센터 - 4단계(전체 데이터)

Q : 전체 데이터 확인 단계에서 같은 종류의 컬럼인데, 서로 분리되어 나옵니다.

A : 전체 데이터 처리는 FULL OUTER JOIN 을 기준으로 각 데이터들을 통합하기에, 동일한 컬럼명을 가진 컬럼끼리 통합합니다.

즉, 데이터 전처리 단계(2단계)에서 컬럼명 변경을 통해 컬럼명을 동일하게 맞춰준 후 진행해야만 전체 데이터 확인 단계에서 하나의 컬럼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운영센터(구 DA센터)

Q : 새롭게 생성한 캠페인/그룹/소재가 보이지 않습니다.

A : 광고 설정 기능은 3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매체에서 정보를 수집해오므로, 수집 전까지 목록을 다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 해당 캠페인/그룹/소재가 속한 상위 항목을 찾아 동기화 칼럼의 하위 목록 동기화 를 선택하면 매체에서 즉시 해당 목록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Q : 공용 계정에 권한을 부여하였으나 사용자에게 행동을 수행할 권한이 없다고 나타납니다.

A : 메타는 캠페인 유형에 따라 페이스북 페이지나 카탈로그에 대한 권한이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비즈니스 설정 페이지에서 공용 계정에 페이지나 카탈로그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해 주세요.


피드메이커

Q : 원본피드와 매체피드는 정해진 시간 외에는 업데이트가 불가능한가요?

A : 원본피드 및 매체피드 모두 정해진 시간이 아닌 다른 시간에 업데이트를 하고자 한다면 재수집 버튼을 통해 데이터 수집이 가능합니다.


소재 센터

Q : 데이터 리프레시 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A : 매일 새벽 00시~00시 사이 매체 데이터 리프레시가 진행됩니다. 당일 데이터는 부정확할 수 있기에, 분석 기간을 전일자까지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Q : 소재센터에서 소재를 바로 OFF 할 수는 없나요?

A : 많은 분들이 성과에 기반해 저효율 소재 혹은 피로도가 누적된 소재를 탐색하고, 즉시 매체에 광고 상태를 반영하고 싶어 하십니다.

해당 기능은 소재센터의 영역을 벗어나지만, 제품의 관점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기능이기에 추후 개발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Q : 최대 분석 가능 범위가 어떻게 되나요?

A : 대부분의 경우 원활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다만, 내부 성능 테스트 및 QA 결과에 따르면 광고 개수가 50만 개 이상이거나 분석 리포트 당 사용된 소재(광고 X)의 개수가 10,000개를 초과하는 경우, 처리 속도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 소재센터 이용 시 속도가 느립니다.

A : 소재 분석의 속도는 크게 두 가지 요인으로 결정됩니다. 하나는 인터넷 속도이고, 하나는 데이터 조회 조건입니다.

인터넷 속도는 최초 리포트 생성 단계, 즉 모든 소재를 불러와야 하는 단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데이터 조회 조건은 리포트 생성 이후 성과를 불러오거나 피벗을 생성하는 단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상기 두 가지 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품팀에서는 이미지 크기 압축하기/쿼리 최적화하기/ DB 성능 조정하기 등의 다양한 시도로 성능 최적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속도 문제로 사용이 어려우신 경우 언제든지 Xpert 온보딩 매니저에게 연락 주세요.

Q : 소재와 함께 세팅한 광고 문구는 확인할 수 없나요?

A : 해당 기능은 아직 지원되지 않습니다.

다만, 소재와 함께 사용된 광고 문구는 대부분의 매체에서 저장하고 있으며, 해당 기능 개발을 로드맵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Q : '클릭'과 '클릭(메시지 클릭)'은 어떻게 다른 건가요?

A : 클릭값이 두 종류로 나타나는 이유는, 카카오 메시지 소재에서 클릭값을 메시지 클릭값이 포함된 것과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눠서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 카카오 메시지 소재 내 클릭(메시지 클릭) 은 클릭값과 메시지 클릭값을 모두 포함하는 값입니다.

  • 클릭 은 메시지 클릭값을 제외한 클릭만을 의미합니다.

즉, 카카오 플러스친구 광고 상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클릭 만 사용하셔도 됩니다. 카카오 플러스친구 광고 상품을 사용한다면 클릭(메시지 클릭)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Q : [소재 일자별 성과] 탭에서 확인되는 성과의 경우, 어떤 소재의 일자별 성과인지 궁금합니다.

A : 인사이트탭-소재 일자별 성과 카드에서는 필터링된 모든 소재의 성과 합을 표시합니다.

특정 광고의 일자별 성과를 보고 싶은 경우, 성과 테이블이나 인사이트 카드 클릭 시 노출되는 모달에서 광고명을 한 번 더 클릭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 [사용자KPI]를 수식으로 구현한 후, (%, $)와 같은 서식 반영 기능이 가능한가요?

A : 네 가능합니다.

우측 상단 점 세 개로 이루어진 버튼을 누르면 지표 서식 설정이 있습니다. 해당 메뉴에서 단위/소수점 자릿수 등의 KPI 서식 설정이 가능합니다.

Q : 소재센터에서 확인되지 않는 메타 소재가 있습니다.

A : 메타의 게시물 끌어오기를 통해 생성한 광고 소재는, 조직 자산에 게시물 접근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조직자산에 인스타그램 프로필, 페이스북 페이지의 접근 권한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보다 자세한 사항은 Xpert 온보딩 매니저에게 문의해주세요.


알림 설정

Q: Slack 비공개 채널의 경우 알림을 받을 수 없나요?

A: 가능합니다.

해당 채널 설정의 [통합] 탭에 들어가 Xpert 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채널에 앱이 추가되고 나면 Xpert 웹 상에서 채널 검색을 통해서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노출되지 않는다면 '재동기화' 버튼을 눌러 목록을 업데이트해주세요.

Last updated